안녕하세요 오늘은 구수한 사투리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사투리라고 하면 지역의 공통적인 음운이나 문법, 어휘적인 특징을 통해 나타나는데 충청도 방언의 특징은 좀 말이 늘어지는 표현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그건 말여유', '그런 거예유' 이런 식인데 TV에서 농촌 드라마 쪽에서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충청도 방언 사전 찾아보기
예전에 구글에서도 번역기라고 나왔는데 찾아보니 잠깐 이벤트성으로 나왔다고 합니다. 아쉬운데로 먼저 많은 양의 사투리를 한번에 볼수 있는 사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접근이 가능하며 포털사이트에서 '네이버 국어사전 방언' 이라고 검색을 합니다.
검색 결과가 나오면 바로 클릭을 통해 사이트에 접속을 해보겠습니다. 그러면 이렇게 방언에 대해 확인을 할수가 있는데요. 여기서 충청도 방언 사전을 클릭합니다.
충청북도와 충청남도로 구분해서 검색을 할수가 있으며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순으로 쉽게 찾을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대표적인 충청도 방언 모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간초롬하다 - 가지런하다
엄니 - 어머니
그랴도 - 그래도
그랴 - 그래
그지서는 - 그제야
그럭 - 그릇
귀뚜라기 - 귀뚜라미
궁디이 - 궁둥이
고곰 - 학질
고든하누 - 북풍
니알 - 내일
더듬뱅이 - 말더듬이
말리다 - 관리하다
며가지 - 모가지
무감자 - 고구마
미꾸래미 - 미꾸라지
바텡이 - 항아리
부억작 - 아궁이
붐배 - 눈보라
비냍다 - 뱉어 내다
새양 - 생강
소모양간 - 외양간
숨바꼼질 - 숨바꼭질
아래께 - 접때
아주매 - 아주머니
우티케 - 어떻게
워치게 - 어떻게
워째서 - 어찌하여서
그 밖에도 충청도 방언 사전에는 몰랐던 부분에 대해서 자세히 나오니까 추가로 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